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Tags
- 트리거
- fixed width
- 동작규칙
- 마이크로인터랙션
- 반응형
- 반응형카드만들기
- statusbar
- Grid
- 인터랙션
- Hug contents
- 성공메시지
- webdesign
- UX라이팅
- constraint
- resizing
- 오토레이아웃
- 상단바고정
- Grid System
- AutoLayout
- figmainteration
- 마이크로카피
- fill container
- 그리드
- interaction
- Figma
- 피그마속성
- 그리드시스템
- 피그마
- uxui
- UXUI Design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constraint (1)
Designer Sunny

이번 게시글에서는 auto layout에서 사용하는 absolute 속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합니다. 먼저 absoulute라는 속성을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알고 계셔야 개발자님과 원활한 소통은 물론 속성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 잘 사용할 수 있겠죠? 우리가 디자인을 할 때 하나의 엘리먼트를 특정한 위치에 고정시켜놓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앱에서 새 알람이 왔을 때 알림 아이콘 우측 상단에 빨간 점이 뜨는 것 처럼 말입니다. 우리는 그것을 절대적인 위치에 놓는다고 해서 absolute라고 지칭합니다. 개발 시에는 element { position: absolute;/* absolute로 위치합니다 */ top: -10px;/* 맨 위에서 -10px만큼에 위치합니다 */ right: -10px;..
Figma
2022. 7. 4. 23:38